변수 : 갑을 저장할 대 사용하는 식별자, 모든 자료형을 저장 할 수 있음
1. 변수 생성과 사용
- 변수를 사용하려면 두단계가 필요
- 변수선언 -> 변수에 값을 할당
- var 변수 var 키워드 뒤에 식별자를 쓰면, 식별자는 변수가 된다.
- "변수를 선언한다" : 변수를 만드는 것을 의미
- "변수에 값을 할당한다" 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
- "변수를 초기화한다" : 변수를 선언한 후 처음 값을 할당하는 것
var pi; //변수를 선언
pi = 3.14159365 // 변수값 할당
var pi = 3.14159365 // 변수 선언 및 초기화
-자바스크립트에는 총 여섯가지의 자료형이 있고, 모든 자료형을 변수에 저장 가능
( 문자열, 숫자, 불, function, object, undefined)
-undefined 자료형은 선언되지 않거나 할당되지 않은 변수를 나타내는 자료형이라 변수에 저장해도 의미가 없음
2. 복합대입 연산자
: 대입 연산자와 다른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는 연산자
변수++ 기존 변수 값에 1을 더함 (후위)
++변수 기존 변수 값에 1을 더함 (전위)
변수-- 기존 변수 값에 1을 뺌 (후위)
--변수 기존 변수 값에 1을 뺌 (전위)
독립적으로 사용할 경우, 전위와 후위의 연산자 차이를 발견할수 없음
다른연산자나 함수와 함께 사용할 경우 차이를 알 수 있음
후위 - 해당 문장을 실행 한 후에 값을 더함
전위 - 값을 더한 후에 해당문장을 실행
3. 변수의 특성
: 변수 하나당 하나의 내용물만 담을 수 있음
4. 자료형 검사
-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typeof 연산자를 사용함
alert(typeof ('string')); => 결과 : string
alert(typeof (177); => 결과 : number
'Web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:: 출력 (0) | 2016.04.05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:: 기본용어 (0) | 2016.04.04 |
댓글